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

1종 2종 3종 주거지역이란? 부동산 용어 알아보자! (feat. 4종 주거지역?)

by kannan 2022. 5.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1종, 2종, 3종 주거지역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매매 관련 글을 둘러보다보면, '3종 주거지역 전환 시 호재!'라는 문구를 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바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1종, 2종, 3종 주거지역이란 무엇일까요? 무엇이 좋은 것일까요?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 종별 주거지역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1. 각 종별 주거지역의 특징

 가. 1종 주거지역 : 저층 중심(~4층) + 상업 가능
 나. 2종 주거지역 : 중층 중심(~18층) + 상업 가능
 다. 3종 주거지역 : ★층수제한 없음!★ + 상업 가능

 각 종별 주거지역의 아주아주 간략한 특징은 위와 같습니다. (물론 실제 지역의 환경에 따라 세부 내용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3종 주거지역 전환 시 호재!'라는 의미도 이해하셨을겁니다. 층수제한이 사라지면서, 더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아파트가 아주 높이 들어설 수 있게 된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조금은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종, 2종, 3종 주거지역은 모두 '일반주거지역'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이지 않은 주거지역도 있겠죠? 바로, '전용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이 그것입니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지역을 통칭하여, 우리는 '주거지역'이라고 부릅니다.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 각 주거지역별 종류 및 특징

 가. 전용주거지역 : 상업시설이 들어오기 힘든, (거의) 주거만을 위한 지역
 나. 일반주거지역 : 일반적인 주거지역! 주거지역이기도 하며, 상업시설이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다. 준주거지역 : 주거와 상업이 모두 가능한 지역, 반반이라고 보면 됩니다.

 주거지역은 위와 같이 세 종류로 나뉘며, 각 주거지역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용주거지역은 상업시설이 거의 들어오지 못하고, 일반주거지역은 상업시설이 들어올 '수' 있으며, 준주거지역은 주거도 가능하며, 상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역인 것 입니다. 추가로 준주거지역은 상업 외 업무시설도 함께 들어올 수 있습니다. 즉 주거+상업+업무 모두 가능한 셈이죠.
 그리고 우리는 여기에서 1번 '각 종별 주거지역'과 2번 '주거지역의 종류'를 섞을 수 있습니다. 바로 다음과 같이 말입니다.

3. 종별, 주거지역별 구분 및 특징

주거지역별 구분 종별 구분 합치면? 특징
전용주거지역 1종 1종 전용주거지역 용적률 50 ~ 100%
2종 2종 전용주거지역 용적률 50 ~ 150%
일반주거지역 1종 1종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100 ~ 200%
2종 2종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100 ~ 250%
3종 3종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100 ~ 300%
★준주거지역 - 준주거지역 용적률 200 ~ 500%

 전용주거지역은 1~2종을 더할 수 있고, 일반주거지역은 1~3종을 모두 더할 수 있습니다. (전용주거지역의 경우 3종이 없고, 준주거지역은 종별 구분을 하지 않는다는 점만 알면 됩니다)
 그리고, 각 주거지역별 특징을 적어 놓았는데,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용적률의 차이입니다. 전용 → 일반 → 준으로 갈수록 용적률이 커지며, 1종 → 2종 → 3종으로 갈수록 용적률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1종 전용주거지역이 제일 용적률이 낮으며, 3종 일반주거지역이 용적률이 가장 큽니다.
 물론, 1~3종으로 나뉘지 않는 준주거지역은 따로 생각해야 합니다. 준주거지역이 주거지역 중에서는 용적률이 가장 크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대체로 건물이 높게 올라가면 올라갈수(있을수)록, 땅의 가치가 높아진다고 보면 되니, 부동산에서 '3종 상향 시 호재!'라는 말은, 건물을 더 높게 올릴 수 있게 되니,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말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를 우리는 소위 '종 상향'이라고 합니다.

4. 종 상향 및 '4종 주거지역'에 대하여

 그렇지만 종 상향은 쉽지 않습니다. 최근 종 상향 관련 기사를 보니, 21년 12월 대구의 1종 일반주거지역이 무려 '50년'만에 종 상향이 된다고 합니다. 건물의 노후도, 주변 환경, 개발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되는 사항이며,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재산과도 관련이 깊기 때문에 쉽게 상향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늘어나는 서울의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기준을 완화할 수도 있지만, 이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닐 겁니다. 따라서 부동산이 말하는 '종 상향 시 호재'는 마치, '로또 당첨되면 집 구매 가능'이라는 말과 비슷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과거 대통령 선거 때, 이재명 (전) 후보가 '4종 일반주거지역'을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대로라면, 지금까지보다 더 큰 용적률을 가진 일반주거지역을 신설하겠다는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이는 용적률의 완화를 통해 서울시의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공약이었습니다. 이제 기사의 헤드라인만 봐도 이해를 하실 수 있으시겠죠?ㅎㅎ

 이상으로, 오늘은 각 종별, 주거지역별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이 시간에는 '용적률'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왜 용적률이 크면 땅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인지에 대하여, 조만간 글을 통해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